posted by DdaDdaSsij 2019. 7. 24. 14:14


영화의 첫 장면은 기우제를 지내는 세종의 모습으로 영화가 시작됩니다. 여기서 송강호 배우가 많은 신경을 썼다는 것이 느껴졌습니다. 이미 [사도]를 통해서 왕의 모습을 보여준 적이 있기 때문에, 같은 배우가 같은 역할을 한다는 느낌이 들 수도 있었습니다. 그런 생각을 송강호 배우도 했던 것 같습니다. 처음 등장하는 연기부터 [사도]와는 조금 다르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큰 변화는 아니지만, 송강호 배우의 연기를 관심 있게 보신 분들이라면 느껴질 수 있는 차이라고 생각됩니다.

이러한 느낌은 송강호 배우 또한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는 반증으로 느껴졌습니다. 그의 연기는 개성이 강하기 때문에 여러 영화들을 통해 보여준 그의 모습들이 비슷하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그의 연기가 매력적인 이유는 이런 노력들을 통해 영화 속 캐릭터를 자신에 맞게 잘 해석하기 때문에 그의 연기가 계속 보고 싶어 지는 이유라고 생각됩니다.

 

영화의 분위기가 즐겁게 보는 영화가 아니라는 점에서 굳이 여름휴가철에 개봉했어야 할 영화는 아니라고 생각이 됩니다. 오히려, 추석이나 한글날 시즌에 걸쳐서 개봉을 했다면 더욱 의미 있는 개봉이었다고 생각됩니다. 조금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이해가 된다면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영화라고 생각이 됩니다

 

 

 

 

한글 창제 과정과 불교의 개입

 

영화 [나랏말싸미]는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과정을 담은 영화입니다. 우선 이 영화는 사실을 기반으로 한 영화는 아닙니다. 영화의 내용은 일부 학계에서 내세우는 가설 중 하나입니다. 때문에 이 영화는 사실을 기반으로 한 사극이 아닌, 허구를 바탕으로 한 픽션으로 보시면 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한글의 창제 과정은 세종이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만들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당시 집현전 학자 및 사대부들은 새로운 문자를 만드는 것에 아주 심하게 반대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조선왕조실록에는 한글 배포 이전의 기록 자체가 없습니다. 물론, 집현전 학자들과 비밀 프로젝트를 구성하여 만들었다는 설도 존재합니다. 그리고 3 인물이 개입했다는 주장이 등장합니다. 그리고 여러 근거들을 통해서 신미 스님에 대한 존재와 그가 한글 창제에 개입했다는 가설이 세워집니다.

영화 속에서는 이런 가설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팔만대장경에 등장하는 언어에 대한 이야기와 당시 불교는 박해를 받던 종교이기 때문에 사대부들의 반대에 부딪히게 될 것을 생각해 집현전 학자들로 공을 돌리려고 했다는 점과 훈민정음의 서문이 108자인 이유가 108배를 의미한다는 등의 근거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것들은 모두 가설일 뿐이며, 확실하게 확인된 것은 아직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영화에서 등장하는 한글을 창제하게 되는 배경 및 이야기들은 거의 대부분 허구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한글이 만들어지는 원리는 사실에 가깝습니다. 흔히 알고 있는 창호지 문틀을 보고서 만들었다는 것은 잘못 알려진 사실로 사람의 발음기관을 보고 만들어졌다는 것이 해례본을 통해 알려졌습니다. 이런 모습을 통해 우리가 쓰는 한글이 얼마나 과학적으로 제작되었는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영화의 두 가지 키워드

이 영화는 크게 두 가지 코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당연히 한글입니다. 한글을 창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이 영화의 가장 메인 콘텐츠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언어를 만든다는 것 자체가 쉬운 일은 아닙니다그전에 이미 다른 표음문자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하고, 이런 과정에서 영화는 산스크리트어 및 여러 표음문자들이 등장합니다. 말로만 들으면 이 과정들이 상당히 어렵게 느껴지지만 이를 쉽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어려운 내용을 다룬 영화에서 자주 나타나는 실수가 너무 쉽게 보여준다는 것입니다. 이해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아예 설명을 생략하거나, 쉽게 보여주려고 하다가 오히려 설명이 길어지면서 영화가 지루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모든 것을 쉽게 설명해서, 이해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어려운 것을 무조건 쉽게 설명한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일이고, 쉽게 설명한다고 해도 그것을 온전히 이해할 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쉽게 이해한 것은 쉽게 잊히기 마련입니다. , 모든 것이 쉽게만 설명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런 이유로 이해가 어렵거나, 좋은 소재를 겉핥기 식으로만 다루는 영화가 생깁니다. 그에 비하면 [나랏말싸미]는 그 난이도나 이해가 적당한 편이라고 생각됩니다. 극의 흐름을 깨지 않은 선에서 설명이 이어지다가 길어지는 듯하면, 상대방이 이해했다는 듯이 되받아 치는 식으로 설명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영화에서 표현하는 언어에 관한 이야기들이 너무 어렵지도 않아서 시험으로 치면 적당한 난이도의 문제가 나왔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이런 이해의 과정에서 보이는 한글의 틀을 만들어 내는 과정 또한 상당히 흥미롭습니다. 영화를 보는 모든 관객들은 이미 한글을 쓰고 있습니다. 때문에 영화의 결말을 이미 알고 있고, 후대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도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한글 창제 과정에서 등장하는 초기 한글의 모습이 반갑게 느껴집니다. 그리고 그 한글이 조금씩 발전하면서 제법 구색을 갖추게 되면, 마치 아이의 성장과정을 지켜본 것과 같은 느낌이 듭니다. 영화 [트루먼쇼]에서 트루먼을 지켜보던 사람들의 심정이 이런 것이었을까요?

 

두 번째 코드는 종교입니다. 영화의 배경은 조선시대로 유교를 국교로 삼는 나라입니다. 당시 사대부들은 고려가 망한 것이 불교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유교가 가장 뛰어난 종교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물론, 중국의 영향이 가장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때문에 유교가 아닌 다른 종교는 모두 불손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이유로 불교의 사찰을 사람들의 눈을 피해서 산에 지어진 것이고오늘날 많은 사찰들이 산속에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그런 배경 속에서 세종과 함께 한글을 만들어가는 신미 스님의 존재는 그들에게 불편한 존재입니다. 영화 초반에 신미 스님의 대사에도 언급되는 것처럼 나라가 중을 개취급하고 있는 것이죠. 그리고 그 속에서도 굳건하게 자신의 종교를 지키는 인물이 바로 소현왕후입니다. 이는 소현왕후와 세종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면 이해가 더 쉬울 것입니다.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세종은 소현왕후에게 많은 빚을 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나라의 분위기가 불교를 배척하고 있음에도 세종은 그러지 못합니다. 혹은 그런 편견을 가지고 있지 않게 되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신미 스님에게 같이 한글을 만들자고 제안했을 것입니다. 만약, 소현왕후의 종교가 불교가 아니었다면 세종 또한 스님을 배척했을 수도 있습니다

 

영화 속에서 신미 스님이 등장하게 되는 계기는 일본에서 온 스님 때문입니다. 이들은 팔만대장경이 필요하다면서 조선에게 팔만대장경 원판을 달라고 애원(이라 쓰고 협박이라 읽는다)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신미 스님이 그들에게 이야기합니다. 100년이 걸리더라도 스스로 만들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라는 이야기를 합니다. 이 이야기가 영화의 시작이자 한글의 시작이 됩니다.

스스로 만들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는 말처럼 세종은 우리의 말에 맞는 문자를 만들려고 한 것이 바로 이런 이유입니다. 글을 모르는 백성과 아는 양반 사이에 생기는 정보의 격차 때문에 빈부의 격차가 줄지 않은 것이고, 그 격차를 줄이기 위해 누구나 쉽게 쓸 수 있는 한글을 만들려고 한 것입니다

이러한 사상은 불교에 몸담고 있는 신미 스님의 생각과도 일치합니다. 모든 사람이 유교를 믿는 것처럼 보이지만 아직 불교를 믿고 있는 사람들도 존재하고 있고, 그 사람들과 아직 불교를 모르는 사람들에게 비교적 쉬운 한글로 쓰인 경전을 배포하게 된다면, 더 많은 사람들이 불교의 뜻을 알게 될 것이고 더 많은 사람들이 불교에 입문하게 될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렇게 두 사람은 서로 비슷한 듯하지만 다른 뜻을 가지고 함께 한글을 창제하기 위한 힘을 모았던 것입니다

 

두 가지 키워드 속 하나의 이야기 (약 스포)

그리고 이 두 가지 코드를 아우르는 하나의 이야기가 바로 선입니다. (조금 애매하지만 달리 표현할 단어가 떠오르지 않아서 선이라고 칭하겠습니다.) 영화 속에는 두 커플이 등장합니다. 세종과 소현왕후 그리고 궁녀 진아와 스님 학조입니다그중에서도 진아와 학조의 등장은 살짝 의아했습니다. 더군다나 스님과 궁녀의 관계라는 것이 더더욱 그랬습니다. 두 사람의 신분은 사랑이 금지된 사람들임에도 마치 사랑하는 듯한 관계를 보여줍니다. 처음에는 이 두 사람이 한글이라는 글자를 통해서 쉽게 소통하고 이것이 두 사람의 관계를 돈독하게 만들어준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한 관계라고 생각했습니다. 한편으로는 당시 시대에 가장 핍박받는 존재였던 여성과 승려도 한글을 쉽게 쓰고 읽을 수 있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영화를 보면 의아한 것이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스님들의 일탈입니다. 궁 안에서 식사를 중에 고기를 섭취하는 장면이 등장합니다. 그들은 나름의 자기 합리화를 통해서 고기 섭취를 합니다. 그리고 묵언 수행 중인 한 스님이 스스로 수행을 깨고, 말을 하는 장면이 있습니다

우선, 스님이라고 무조건 고기를 먹을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구정육이라 하여 먹을 수 있는 고기에 대한 조건 9가지가 있습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그 동물의 죽음과 자신이 연관되지 않은 고기에 대해서는 먹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영화 속 상황에서는 스님을 위해서 나온 고기가 아니었기 때문에 섭취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스님의 결혼 또한 종파에 따라서 결혼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등장하는 묵언 수행 또한 아예 말을 안 하는 것이 아니라 쓸모없는 대화를 피하기 위해 가급적 대화를 하지 않은 것이므로 최소한의 말만 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는 다른 요소들을 등장시킵니다. 그리고 그것들은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선택하는 것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신미 스님의 대사로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내관과 스님이 다른 점은 내관은 못하는 것이고, 스님은 안 하는 것이다”

이처럼 스님은 스스로 절제하기 위한 여러 규칙과 장치들을 만들어 살아가는 것이고 그 선은 스스로 정하는 것입니다. 인간에게 스스로 자제하는 것만큼 어려운 일은 없을 것입니다. 이런 모습들을 통해서 다시 두 가지를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1. 우리가 가지고 있는 편견에 대한 이야기

2. 할 수 있지만, 그렇게 하지 않음에 대한 이야기

 

첫 번째 이야기에 대해서는 사대부들이 불교를 대하는 태도에서 볼 수 있습니다. 무조건적으로 유교를 좋다고 이야기하고 있지만, 한 내관의 말처럼 사주를 보고 굿을 하는 것 또한 불교의 문화권에서 시작된 풍습입니다. 결국 불교를 거부하고 있지만, 이미 생활 속에는 그 문화들이 잔존해 있다는 이야기와 종교의 지나친 정치화에 대한 이야기로 해석해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두 번째 이야기에 대해서는 쉬운 길이 있지만 그 길을 선택하지 않은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로 볼 수 있습니다. 세종은 한글을 창제하려는 이유가 분명하게 있었습니다. 그 뜻을 위해서 많은 사람들과 대립각을 세웠습니다. 유교의 나라인 조선의 중심부에 절을 만들어 달라는 신미 스님의 요구를 받아들인 것 또한 그렇습니다. 세종은 중국의 속국임을 인정하면서, 사대부들의 의견에 동조하면서 무난하게 살아가면 자신의 것을 누릴 수 있는 환경에 있는 사람입니다. 하지만, 그는 그런 선택보다는 자신이 추구하는 것을 이루기 위한 선택을 했습니다. 이는 스님들이 수행을 하는 것과 같은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자신이 원하는 무언가를 이루기 위해서 유혹을 참는 것 그리고 현실과 타협하는 것들이 스님과 세종의 태도가 동일하게 표현되는 것이라고 해석해 볼 수 있습니다

 

 

쉽게 얻어진 것은 쉽게 사라진다

영화 속에서 세종은 이런 이야기를 합니다.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만들어야 한다”그런 그의 생각대로 한글은 쉽고 간단하게 쓸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그 과정까지 쉽고 간단할 필요는 없습니다. 쉽고 간단하게 만들기 위해서 들어가는 노력은 그리 간단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모든 것은 쉽고 간단하게 할 수는 없는 일입니다. 우리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쉽고 간단한 설명을 듣는다고 그 깊이를 모두 이해할 수 없습니다

분명한 것은 이 영화는 쉽고 간단한 영화는 아닙니다. 우리가 쉽고 간단하게 쓰고 있는 한글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는 쉽고 간단하지 않기 때문이죠. 그 과정까지 쉽고 간단하게 보여준다면, 한글은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는 그런 문자가 되는 것입니다.

영화의 잔가지에 해당하는 몇몇 요소들은 아쉽게 느껴지고, 영화의 결말과 인물의 표현 또한 그리 깔끔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이 영화가 보여주는 한글의 원리와 창제 과정은 상당히 마음에 듭니다. 적어도 그 과정이 그리 호락호락하지 않았다는 것을 관객들이 느꼈다면, 영화는 반 이상의 성공을 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영화 [나랏말싸미]는 한글 창제의 원리를 보여주면서, 그 배경에 대한 가상의 이야기를 그려낸 영화입니다. 그 과정에는 이견이 존재하지만, 창제 원리는 사실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영화는 창제 원리에 대해서는 진중하게 접근하면서도, 가상의 이야기인 과정은 비교적 가볍게 풀어낼 수 있었습니다. 덕분에 영화는 가볍지도 무겁지도 않은 적당한 무게의 영화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역사책을 읽는 느낌보다는 역사 소설을 읽는 기분이 드는 영화의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과하지 않고, 적당하게 볼 수 있는 영화로 가족과 함께 보기에 크게 부담 없는 영화라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