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DdaDdaSsij 2019. 1. 24. 00:33

우리가 먹는 것이 곧 우리 자신이 된다 – 히포크라테스

 

영화에 대한 소개에 가장 먼저 보이는 문장입니다히포크라테스의 말처럼 음식은 그 나라의 문화를 대변합니다같은 나라에 살더라도 각자의 가정에 주로 먹는 음식은 저마다 다릅니다김치나 밥처럼 같은 이름의 음식이더라도 지역마다 더 나아가서는 만드는 사람마다 다른 맛이 납니다그리고 서로 다른 맛들이 한 그릇에 담기면 전혀 새로운 맛이 나오기도 합니다그 새로운 맛을 영화 [우리 가족 라멘샵]이 잘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영화를 연출한 에릭 쿠’ 감독은 아시아에서 손 꼽히는 명장으로 불립니다그는 싱가포르에서 태어났습니다하지만그의 아버지는 말레이시아에서 태어났습니다그리고 에릭 쿠 감독의 아내는 한국 사람입니다그의 가족환경을 보면여러 국적의 사람들과 함께 합니다이런 가정환경을 생각해보면이 영화의 이야기가 자신의 이야기와 비슷하게 느껴졌을지도 모릅니다.

싱가포르인 어머니와 일본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주인공 마사토는 일본에서 아버지와 라멘 가게를 운영합니다그러다 아버지까지 잃게 되면서부모님을 모두 잃게 된 마사토는 어머니의 고향인 싱가포르로 향합니다그곳에서 삼촌을 만나게 되고삼촌에게 아버지가 좋아했던 바쿠테를 배우게 됩니다그리고 바쿠테 라멘이 탄생하게 되는 이런 이야기입니다하지만이 영화는 단순 음식 영화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그 음식에 담겨있는 이야기가 너무 많습니다.

 

[우리 가족 라멘샵]의 주인공은 마사토지만이 영화의 이야기는 그의 부모님의 이야기입니다그분들이 어떻게 만났고어떤 이야기가 있었는지 마사토가 싱가포르에서 삼촌을 만나 바쿠테를 배우면서 이야기들이 하나씩 펼쳐집니다그리고 한 번도 본 적 없는 할머니를 찾아가게 되면서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이 영화를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싱가포르와 일본이라는 나라의 국가적 배경을 알아야합니다싱가포르도 일본에 대해 한국과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세계 2차대전 당시 일본은 한국은 물론 많은 국가들을 식민지배했습니다.그 중에 말레이시아도 포함되었습니다그리고 1965년에 싱가포르가 분리 독립하게 됩니다.

한국으로 생각해보면식민지배 시대를 겪었던 할머니가 자신의 딸이 일본 남자와 결혼을 하겠다고 하는 상황입니다지금은 별일 아니라고 생각될 수 있는 일이지만, 20~30년전이라고 생각해보면 충분히 이해가 되기도 합니다.

 

이런 갈등을 음식이라는 소재를 통해 풀어냅니다부모님이 모두 돌아가신 뒤에 부모님에 대한 것은 기억밖에 없는 상황입니다그런 상황에서 맛보는 어머니가 해주는 집밥 같은 음식을 맛보게 되는 순간잊은 줄 알았던 당신과의 추억이 떠오르면서 그리움이 됩니다스포일러 없이 말하기가 참 어렵습니다영화를 보신 분들이라면 어떤 장면을 말하는지 아실 것 같습니다.

 

영화 속 음식들의 온기가 그대로 전해지는 듯한 영화입니다부모님의 이야기를 미스터리적 요소로 이용해서 영화 내내 궁금하게 만듭니다그리고 영화 속 음식을 통해 관객들에게 군침을 흘리게 합니다마지막으로 부모님의 이야기와 음식들의 이야기가 하나의 이야기로 변해가면서 이 영화는 서로 다른 이야기처럼 보였던 두 이야기가 하나의 결말로 끝나게 됩니다.

신파로 빠질 수 있다는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하지만영화는 보여줄 것만 보여줍니다더 시간을 써서 감정적인 소모보다는 자신들이 말하고 싶은 이야기에 더 집중합니다그래서조금 아쉽다는 생각도 듭니다어떤 부분에서 감정적으로 생각을 하고느낀 뒤에 보내고 싶었는데 너무 빨리 지나간 것 같아서 아쉬운 생각도 듭니다영화가 과하지 않게 연출된 것은 영화 속 주된 음식인 바쿠테 라멘을 표현한 것 같습니다.

 

3.5 / 5  마음 따뜻하게하지만 과하지 않게